본문 바로 가기
글로벌주식
미국
보수인하
패시브
퇴직연금
개인연금
RISE 버크셔포트폴리오TOP10
(475350)
공유하기
2025.06.19 기준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11,826 원
-38.06하락 (-0.32%)
툴팁 열기
주당 시장가격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KEY POINT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와 버크셔 해서웨이가 투자하는 상위 10개 종목에 한번에 투자하는 ETF
장기간 다양한 금융시장을 경험하며 쌓아온 워런 버핏의 가치투자 성과를 향유합니다. (1965~2022년 버크셔 해서웨이 연평균 주가상승률 19.8%, 자료: Berkshire Hathaway Annual Report)
KEY POINT
워런 버핏이 선택한 대표 주식포트폴리오를 연금계좌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
자기자본이익률, 경영진의 능력/윤리, 적정주가 수준 등을 고려해 '경제적 해자'를 보유한 우량 기업에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투자하고, 분산된 포트폴리오에서 발생한 배당금은 재투자하여 주주에게 환원합니다.
기본정보: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 량 (주)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열기
기초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순 자산 규모(원)
KB RISE 버크셔포트폴리오TOP10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475350)
Solactive Berkshire Portfolio Top10 Index(Total Return)
2024.02.27
50,000
91,653,363,494
수탁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한국씨티은행
11,860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1,826
113,740
기본정보: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AP, LP 표
총 보수(%)
툴팁 열기
분배금 지급 기준일
연 0.01%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001%,
신탁 : 0.005%,
일반사무 : 0.003%)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회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DB증권, iM증권, 키움증권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DB증권, iM증권, 키움증권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분배금 지급 기준일,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총 보수(%)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닫기
기초지수
KB RISE 버크셔포트폴리오TOP10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475350)
Solactive Berkshire Portfolio Top10 Index(Total Return)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2024.02.27
50,000
순 자산 규모(원)
수탁은행
91,653,363,494
한국씨티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11,860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1,826
거래량(주)
113,740
AP, LP 표
총보수(%)
연 0.01%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001%,
신탁 : 0.005%,
일반사무 : 0.003%)
툴팁 열기
분배금 지급 기준일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회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DB증권, iM증권, 키움증권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DB증권, iM증권, 키움증권
지수소개
Solactive Berkshire Portfolio Top10 지수는 버크셔 헤서웨이(BRK.B)와 13F 기업자료에 공시된 버크셔 해서웨이 투자포트폴리오 상위 10종목으로 구성된 지수로, 버크셔 헤서웨이(BRK.B) 27.5%와 버크셔 헤서웨이 투자 포트폴리오 편입비 가중방식으로 산출한 지수입니다.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TOP10 구성 종목
2025-06-19 기준
TOP10 구성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표
순위
보유종목
비중(%)
1
Berkshire Hathaway Inc
26.76
2
Apple Inc
20.30
3
American Express Co
13.56
4
Coca-Cola Co/The
9.66
5
Bank of America Corp
8.57
6
Chevron Corp
5.83
7
Occidental Petroleum Corp
3.83
8
Moodys Corp
3.71
9
Kraft Heinz Co/The
3.02
10
Chubb Ltd
2.56
수익률 표는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운용성과 :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표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4.61
-8.52
-8.05
6.80
-
-10.29
18.26
툴팁 열기 기초지수
-4.84
-8.62
-8.34
6.14
-
-10.58
17.53
툴팁 열기 초과성과
0.22
0.09
0.28
0.66
-
0.29
0.73
일별 수익률 : 일자, 시장가격(원)(종가, 등락률(%)), 기준가격(원)(종가, 등락률(%)) 표
일자
툴팁 열기
시장가격(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원)
종가
등락률(%)
종가
등락률(%)
2025.06.18
11,860
0.551상승
11,826.24
-0.320하락
2025.06.17
11,795
-0.084하락
11,864.3
0.496상승
2025.06.16
11,805
0.212상승
11,805.64
-1.499하락
2025.06.13
11,780
-0.464하락
11,985.4
0.922상승
2025.06.12
11,835
-1.580하락
11,875.86
-1.774하락
2025.06.11
12,025
0.459상승
12,090.38
0.978상승
2025.06.10
11,970
0.083상승
11,973.21
0.296상승
2025.06.09
11,960
0.715상승
11,937.81
0.783상승
2025.06.05
11,875
-1.615하락
11,845.05
-1.482하락
2025.06.04
12,070
1.131상승
12,023.31
0.059상승
2025.06.02
11,935
-1.282하락
12,016.15
-0.619하락
2025.05.30
12,090
-1.023하락
12,091.11
0.813상승
2025.05.29
12,215
0.992상승
11,993.5
-0.695하락
2025.05.28
12,095
0.917상승
12,077.46
2.226상승
2025.05.27
11,985
0.798상승
11,814.4
0.372상승
2025.05.26
11,890
-0.460하락
11,770.56
-1.426하락
2025.05.23
11,945
-0.830하락
11,940.95
-0.787하락
2025.05.22
12,045
-1.873하락
12,035.76
-2.172하락
2025.05.21
12,275
-1.047하락
12,303.09
-1.071하락
2025.05.20
12,405
-0.201하락
12,436.31
-0.823하락
2025.05.19
12,430
0.120상승
12,539.61
1.140상승
구성종목(PDF) 현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수량(주),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표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수량㈜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1
설정현금액
CASH00000001
591,312,019
100
591,312,019
2
Berkshire Hathaway Inc
US0846707026
239
26.76
158,236,525
3
Apple Inc
US0378331005
448
20.3
120,023,418
4
American Express Co
US0258161092
200
13.56
80,194,802
5
Coca-Cola Co/The
US1912161007
599
9.66
57,107,239
6
Bank of America Corp
US0605051046
837
8.57
50,695,886
7
Chevron Corp
US1667641005
169
5.83
34,448,147
8
Occidental Petroleum Corp
US6745991058
360
3.83
22,667,404
9
Moodys Corp
US6153691059
34
3.71
21,940,280
10
Kraft Heinz Co/The
US5007541064
507
3.02
17,877,859
11
Chubb Ltd
CH0044328745
39
2.56
15,156,793
12
DaVita Inc
US23918K1088
51
1.61
9,533,776
13
원화예금
KRD010010001
3,429,890
0.58
3,429,890
투자 유의사항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투자 전 설명 청취 및 (간이)투자설명서·집합투자규약 필독 부탁드립니다.
- 합성 총보수 비용 및 증권거래비용을 함께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거래비용 및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ETF 거래수수료는 별도로 발생할 수 있사오니 거래증권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과세 기준 및 방법 등은 향후 세법개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재무실적 및 영업실적 등의 수치는 광고 시점 및 미래에는 이와 다를 수 있습니다.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의 분배재원에 따라 하기 지급기준일에 분배금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 투자시 투자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 년수로 표시되며, 현금흐름(쿠폰)이 발생하는 채권의 경우 채권의 실제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
기준가격과 기초지수간 차이.
기간 클릭 시 해당 기간의 수익률 오름/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상품 리스트가 정렬됩니다.
상품의 3개월 데이터 기준으로 차트가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