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혼합자산
개인연금
퇴직연금
패시브
RISE 삼성그룹Top3채권혼합
(448630)
공유하기
2025.08.29 기준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10,271 원
-48.26하락 (-0.47%)
툴팁 열기
주당 시장가격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KEY POINT
삼성그룹의 TOP3 미래 핵심기업에 투자하는 채권혼합형 ETF
삼성그룹의 미래 핵심 섹터와 기업 삼성전자(IT), 삼성바이오로직스(바이오), 삼성SDI(2차전지)에 40%를 집중투자하며, 60%를 국채에 투자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성장주에 투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KEY POINT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퇴직연금 계좌에서 100% 투자 가능
주기적인 리밸런싱으로 6(채권) : 4(주식) 비중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기본정보: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 량 (주)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열기
기초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순 자산 규모(원)
KB RISE 삼성그룹Top3채권혼합블룸버그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채권혼합)
(448630)
Bloomberg Blended Samsung Group Fixed Top 3 Equity and Korean Bond Index
2022.11.29
100,000
18,487,097,125
수탁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홍콩상하이은행 (HSBC은행)
10,28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0,270
26,361
기본정보: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AP, LP 표
총 보수(%)
툴팁 열기
분배금 지급 기준일
연 0.2%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174%,
신탁 : 0.01%,
일반사무 : 0.015%)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비정기지급)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신한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 KB증권,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 KB증권, 키움증권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분배금 지급 기준일,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총 보수(%)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닫기
기초지수
KB RISE 삼성그룹Top3채권혼합블룸버그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채권혼합)
(448630)
Bloomberg Blended Samsung Group Fixed Top 3 Equity and Korean Bond Index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2022.11.29
100,000
순 자산 규모(원)
수탁은행
18,487,097,125
홍콩상하이은행 (HSBC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10,28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0,270
거래량(주)
26,361
AP, LP 표
총보수(%)
연 0.2%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174%,
신탁 : 0.01%,
일반사무 : 0.015%)
툴팁 열기
분배금 지급 기준일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비정기지급)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신한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 KB증권, 키움증권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미래에셋증권, 신영증권, KB증권, 키움증권
지수소개
Bloomberg Blended Samsung Group Fixed Top 3 Equity and Korean Bond Index 지수는 국내 대표 그룹인 삼성그룹 내 핵심산업 우량주인 ‘삼성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SDI’의 비중 40% 및 3년 국채선물 성과를 추종하는 ‘KIS 3년 국채선물 헤지지수’ 비중 60%로 구성된 채권혼합지수입니다.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TOP10 구성 종목
2025-08-29 기준
TOP10 구성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표
순위
보유종목
비중(%)
1
국고채권03250-2903(24-1)
25.33
2
삼성전자
18.02
3
삼성바이오로직스
12.71
4
국고채권02250-2806(25-4)
12.18
5
원화예금
8.68
6
국고채권03875-2612(23-10)
6.26
7
국고채권02625-3003(25-3)
6.17
8
삼성SDI
4.44
9
국고채권03000-2909(24-7)
3.14
10
국고채권03125-2606(23-4)
3.08
채권신용등급별 비중
순위
종목명
비중(%)
1
RF
100
분배금 지급현황
· 최근 3년의 분배금 지급 현황을 공지해 드립니다.
분배금 지급현황: 분배금 기준일, 분배금 실지급일, 주당분배금(원), 주당과세표준액(원) 표
지급기준일
실지급일
분배금액(원)
주당과세 표준액(원)
2025-04-30
2025-05-07
10
10
2024-04-30
2024-05-03
10
10
2023-04-28
2023-05-03
90
90
수익률 표는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운용성과 :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표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0.23
4.83
3.85
-1.37
-
6.50
3.79
툴팁 열기 기초지수
0.63
7.26
5.80
-1.58
-
7.80
3.96
툴팁 열기 초과성과
-0.86
-2.43
-1.95
0.2
-
-1.3
-0.17
일자, 시장가격(원), 기준가격(원), 과표기준가 표
일자
툴팁 열기
시장가격(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원)
과표기준가(원)
종가
등락률(%)
종가
등락률(%)
2025.08.28
10,285
-0.290하락
10,270.61
-0.467하락
10,591.96
2025.08.27
10,315
-
10,318.87
0.112상승
10,593.98
2025.08.26
10,315
-0.338하락
10,307.32
-0.430하락
10,589.04
2025.08.25
10,350
0.096상승
10,351.93
0.189상승
10,586.6
2025.08.22
10,340
-
10,331.74
0.355상승
10,582.06
2025.08.21
10,340
0.290상승
10,295.19
-0.038하락
10,585.01
2025.08.20
10,310
0.243상승
10,299.12
-0.011하락
10,584.2
2025.08.19
10,285
-0.242하락
10,300.29
-0.034하락
10,583.04
2025.08.18
10,310
-0.530하락
10,303.8
-0.630하락
10,585.25
2025.08.14
10,365
-0.336하락
10,368.23
-0.077하락
10,590.36
2025.08.13
10,400
0.677상승
10,376.26
0.487상승
10,587.14
2025.08.12
10,330
-0.241하락
10,325.89
-0.227하락
10,584.02
2025.08.11
10,355
0.193상승
10,349.47
0.065상승
10,585.93
2025.08.08
10,335
0.242상승
10,342.05
0.263상승
10,587.05
2025.08.07
10,310
0.438상승
10,314.87
0.429상승
10,588.32
2025.08.06
10,265
-0.388하락
10,270.75
-0.431하락
10,583.91
2025.08.05
10,305
0.389상승
10,315.21
0.559상승
10,583.89
2025.08.04
10,265
0.342상승
10,257.78
0.569상승
10,583.56
2025.08.01
10,230
-1.207하락
10,199.01
-1.340하락
10,572.78
2025.07.31
10,355
-0.480하락
10,337.59
-0.797하락
10,576.07
2025.07.30
10,405
0.774상승
10,420.69
0.983상승
10,575.47
2025.07.29
10,325
0.535상승
10,319.18
0.243상승
10,575.9
구성종목(PDF) 현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수량(주),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표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수량㈜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1
국고채권03250-2903(24-1)
KR103501GE31
250,000,000
25.33
260,139,250
2
삼성전자
KR7005930003
2,659
18.02
185,066,400
3
삼성바이오로직스
KR7207940008
129
12.71
130,548,000
4
국고채권02250-2806(25-4)
KR103501GF63
125,000,000
12.18
125,058,750
5
원화예금
KRD010010001
89,113,656
8.68
89,113,656
6
국고채권03875-2612(23-10)
KR103501GDC8
62,500,000
6.26
64,254,187
7
국고채권02625-3003(25-3)
KR103503GF38
62,500,000
6.17
63,393,687
8
삼성SDI
KR7006400006
211
4.44
45,576,000
9
국고채권03000-2909(24-7)
KR103501GE98
31,250,000
3.14
32,233,125
10
국고채권03125-2606(23-4)
KR103501GD65
31,250,000
3.08
31,675,812
투자 유의사항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투자 전 설명 청취 및 (간이)투자설명서·집합투자규약 필독 부탁드립니다.
- 합성 총보수 비용 및 증권거래비용을 함께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거래비용 및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ETF 거래수수료는 별도로 발생할 수 있사오니 거래증권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과세 기준 및 방법 등은 향후 세법개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재무실적 및 영업실적 등의 수치는 광고 시점 및 미래에는 이와 다를 수 있습니다.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의 분배재원에 따라 하기 지급기준일에 분배금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 투자시 투자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 년수로 표시되며, 현금흐름(쿠폰)이 발생하는 채권의 경우 채권의 실제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
기준가격과 기초지수간 차이.
기간 클릭 시 해당 기간의 수익률 오름/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상품 리스트가 정렬됩니다.
상품의 3개월 데이터 기준으로 차트가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