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 가기
국내주식
테마
퇴직연금
개인연금
패시브
RISE AI&로봇
(469070)
공유하기
2025.07.15 기준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10,158 원
-181.78하락 (-1.76%)
툴팁 열기
주당 시장가격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KEY POINT
인류의 변화를 선도할 국내 AI&로봇 테마 핵심기업에 투자하는 ETF
인구 고령화 및 자동화 확대로 2030년까지 각각 연평균 38%, 21%의 성장이 기대되는 AI와 로봇 산업에 투자합니다.
KEY POINT
두뇌(AI) + 몸(로봇)의 결합시너지가 발생할 핵심 대표기업에 동시에 투자
산업 성장 초기 단계에서 향후 빠른 속도의 시장 상승이 예상되는 매출 및 산업 연관도가 높은 AI&로봇 밸류체인 핵심 기업에 투자합니다.
기본정보: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 량 (주)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열기
기초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순 자산 규모(원)
KB RISE AI&로봇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469070)
iSelect AI&로봇 지수
2023.10.24
50,000
144,752,980,319
수탁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10,14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0,158
590,701
기본정보: 총 보수(%), 분배금 지급 기준일, AP, LP 표
총 보수(%)
툴팁 열기
분배금 지급 기준일
연 0.4%
(지정참가회사 : 0.01%,
집합투자 : 0.35%,
신탁 : 0.02%,
일반사무 : 0.02%)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회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유진투자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한화투자증권, DB증권, 키움증권, 엘에스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유진투자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한화투자증권, DB증권, 키움증권, 엘에스증권
ETF명(종목번호), 기초지수, 상장일, 설정단위(CU), 순 자산(억원), 수탁은행, 분배금 지급 기준일, 현재가(원), 기준가격(NAV), 거래량(주), 총 보수(%) 표
ETF명(종목번호)
툴팁 닫기
기초지수
KB RISE AI&로봇 증권 상장지수 투자신탁(주식)
(469070)
iSelect AI&로봇 지수
상장일
툴팁 열기
설정단위(CU)
2023.10.24
50,000
순 자산 규모(원)
수탁은행
144,752,980,319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툴팁 열기
현재가(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NAV)
10,145
※ 전 영업일 종가 기준
10,158
거래량(주)
590,701
AP, LP 표
총보수(%)
연 0.4%
(지정참가회사 : 0.01%,
집합투자 : 0.35%,
신탁 : 0.02%,
일반사무 : 0.02%)
툴팁 열기
분배금 지급 기준일
1월, 4월, 7월, 10월 마지막 영업일 및 회계기간 종료일(회계기간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직전 영업일)
툴팁 열기
AP(지정참가회사)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유진투자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한화투자증권, DB증권, 키움증권, 엘에스증권
툴팁 열기
LP(유동성공급자)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유진투자증권, 메리츠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한화투자증권, DB증권, 키움증권, 엘에스증권
지수소개
NH투자증권에서 산출 및 발표하는 iSelect AI&로봇 지수는 내 AI 및 AI 유관산업 혹은 로봇 및 로봇 유관산업(이하 AI&로봇 산업)에 속하며 산업 내의 시장 지배력, 우수한 경쟁력 등을 기반으로 산업의 성장과 함께 고성장이 가능한 기업들의 성과를 추종하도록 설계하여 스코어 조정 유동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산출한 지수입니다.
지수정보 자세히 보기
TOP10 구성 종목
2025-07-15 기준
TOP10 구성 종목 : 순위, 보유종목, 비중(%) 표
순위
보유종목
비중(%)
1
NAVER
7.50
2
LG씨엔에스
6.94
3
두산로보틱스
6.22
4
로보티즈
5.39
5
레인보우로보틱스
4.94
6
루닛
4.69
7
현대오토에버
4.55
8
유일로보틱스
3.58
9
코난테크놀로지
3.21
10
솔트룩스
3.18
분배금 지급현황
· 최근 3년의 분배금 지급 현황을 공지해 드립니다.
분배금 지급현황: 분배금 기준일, 분배금 실지급일, 주당분배금(원), 주당과세표준액(원) 표
지급기준일
실지급일
분배금액(원)
주당과세 표준액(원)
2025-04-30
2025-05-07
5
-
수익률 표는 분배금 재투자를 가정한 세전 수익률 기준입니다.
운용성과 :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표
구분
최근 1개월
최근 3개월
최근 6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연초이후
상장이후
툴팁 열기 기준가격 (NAV)
5.68
13.56
13.12
10.51
-
26.28
11.14
툴팁 열기 기초지수
5.73
13.76
13.05
11.13
-
26.33
11.63
툴팁 열기 초과성과
-0.06
-0.2
0.06
-0.63
-
-0.05
-0.5
일별 수익률 : 일자, 시장가격(원)(종가, 등락률(%)), 기준가격(원)(종가, 등락률(%)) 표
일자
툴팁 열기
시장가격(원)
툴팁 열기
기준가격(원)
종가
등락률(%)
종가
등락률(%)
2025.07.14
10,145
-1.885하락
10,158.1
-1.758하락
2025.07.11
10,340
-0.862하락
10,340.11
-0.912하락
2025.07.10
10,430
0.240상승
10,435.32
0.187상승
2025.07.09
10,405
0.579상승
10,415.77
0.766상승
2025.07.08
10,345
0.779상승
10,336.5
0.576상승
2025.07.07
10,265
-0.532하락
10,277.3
-0.429하락
2025.07.04
10,320
-1.714하락
10,321.79
-1.658하락
2025.07.03
10,500
-0.379하락
10,495.88
-0.604하락
2025.07.02
10,540
-2.587하락
10,559.72
-2.313하락
2025.07.01
10,820
-0.184하락
10,809.84
-0.158하락
2025.06.30
10,840
-0.959하락
10,827.01
-1.114하락
2025.06.27
10,945
1.577상승
10,949.32
1.694상승
2025.06.26
10,775
-4.094하락
10,766.89
-4.051하락
2025.06.25
11,235
-2.261하락
11,221.58
-2.526하락
2025.06.24
11,495
1.951상승
11,512.41
2.570상승
2025.06.23
11,275
7.278상승
11,223.94
6.532상승
2025.06.20
10,510
2.336상승
10,535.9
2.704상승
2025.06.19
10,270
1.032상승
10,258.44
0.637상승
2025.06.18
10,165
4.149상승
10,193.45
4.325상승
2025.06.17
9,760
-0.408하락
9,770.82
-0.404하락
2025.06.16
9,800
1.818상승
9,810.48
2.059상승
구성종목(PDF) 현황: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수량(주),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표
번호
종목명
종목코드
수량㈜
보유비중(%)
평가금액(원)
1
NAVER
KR7035420009
153
7.5
38,097,000
2
LG씨엔에스
KR7064400005
459
6.94
35,251,200
3
두산로보틱스
KR7454910001
519
6.22
31,607,100
4
로보티즈
KR7108490004
374
5.39
27,376,800
5
레인보우로보틱스
KR7277810008
94
4.94
25,098,000
6
루닛
KR7328130000
514
4.69
23,798,200
7
현대오토에버
KR7307950006
139
4.55
23,087,900
8
유일로보틱스
KR7388720005
257
3.58
18,169,900
9
코난테크놀로지
KR7402030001
421
3.21
16,313,750
10
솔트룩스
KR7304100001
378
3.18
16,159,500
11
에스피지
KR7058610007
574
2.96
15,038,800
12
와이즈넛
KR7096250006
988
2.93
14,879,280
13
에스오에스랩
KR7464080001
1,305
2.92
14,811,750
14
엠로
KR7058970005
296
2.9
14,711,200
15
엔젤로보틱스
KR7455900001
627
2.83
14,389,650
16
뉴로메카
KR7348340001
614
2.79
14,152,700
17
셀바스AI
KR7108860008
984
2.74
13,913,760
18
폴라리스오피스
KR7041020009
1,973
2.47
12,528,550
19
휴림로봇
KR7090710005
3,901
2.37
12,015,080
20
뷰노
KR7338220007
609
2.16
10,949,820
21
제이엘케이
KR7322510009
1,500
1.91
9,705,000
22
엑셈
KR7205100001
4,045
1.87
9,485,525
23
에브리봇
KR7270660004
573
1.83
9,276,870
24
알에스오토메이션
KR7140670001
582
1.76
8,951,160
25
유진로봇
KR7056080005
740
1.58
8,014,200
26
에스비비테크
KR7389500000
384
1.58
8,044,800
27
딥노이드
KR7315640003
1,364
1.51
7,692,960
28
로보스타
KR7090360009
282
1.51
7,684,500
29
신테카바이오
KR7226330009
1,128
1.48
7,523,760
30
플리토
KR7300080009
633
1.46
7,412,430
31
티로보틱스
KR7117730002
612
1.41
7,154,280
32
코어라인소프트
KR7384470001
1,257
1.32
6,712,380
33
씨메스
KR7475400008
304
1.3
6,627,200
34
크라우드웍스
KR7355390006
697
1.21
6,140,570
35
티엑스알로보틱스
KR7484810007
320
0.88
4,467,200
36
원화예금
KRD010010001
662,419
0.13
662,419
투자 유의사항
- 이 금융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 변동, 환율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투자 전 설명 청취 및 (간이)투자설명서·집합투자규약 필독 부탁드립니다.
- 합성 총보수 비용 및 증권거래비용을 함께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거래비용 및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ETF 거래수수료는 별도로 발생할 수 있사오니 거래증권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과세 기준 및 방법 등은 향후 세법개정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재무실적 및 영업실적 등의 수치는 광고 시점 및 미래에는 이와 다를 수 있습니다.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의 분배재원에 따라 하기 지급기준일에 분배금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 투자시 투자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 년수로 표시되며, 현금흐름(쿠폰)이 발생하는 채권의 경우 채권의 실제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
기준가격과 기초지수간 차이.
기간 클릭 시 해당 기간의 수익률 오름/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상품 리스트가 정렬됩니다.
상품의 3개월 데이터 기준으로 차트가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