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TAR 2차전지TOP10 & KBSTAR 2차전지TOP10인버스 ETF 상장 관련 안내
2차전지 산업 핵심 대표주자들만 선정해 집중 투자하는 KBSTAR 2차전지TOP10 ETF와 그 역방향에 투자하는 KBSTAR 2차전지TOP10 인버스 ETF등 총 2종을 2023년 9월 12일 상장했습니다.
※ KBSTAR 2차전지TOP10 ETF 2종 주요 개요
※ KBSTAR 2차전지TOP10 인버스 ETF 는 ‘합성ETF’입니다
▷ KBSTAR 2차전지Top10 ETF와 같이 기초지수의 정방향을 추종하는 ETF는 실제 주식을 편입해서 운용하기 때문에 ‘실물 ETF’입니다.
▷ 한편, 기초지수의 역방향을 추종하는 ‘KBSTAR 2차전지Top10인버스ETF’는 합성 ETF로 출시하였습니다. 이는 실물 운용이 제한적일 경우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회비용으로 장외파생상품 계약을 활용, 원활한 운용을 하기 위함입니다.
※ 합성ETF 투자시 유의사항 : 과세
▷ KBSTAR 2차전지Top10 ETF와 같이 국내기업의 주식을 실물로 운용하는 경우는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지만, KBSTAR 2차전지Top10인버스 ETF를 포함한 모든 합성 ETF의 경우는 매매차익에 대해서 보유기간과세를 적용 받습니다. 따라서 본 인버스ETF 상품에 투자하실 경우 매매차익과 과표기준가 차이 중 작은 금액에 세금이 부과됩니다.
<국내주식형 ETF와 국내주식형 外 ETF의 세금 비교>
* 보유기간과세 : ETF를 보유한 기간 동안 과표기준가 증분과 매매차익 중 적은 부분에 과세
※ 인버스ETF 투자 시 유의사항 : 일간 수익률과 기간 수익률의 차이
▷ KBSTAR 2차전지Top10 인버스ETF를 포함한 모든 인버스ETF 상품(역방향 X1배)은 일간수익률의 마이너스 1배를 추종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간수익률의 마이너스 1배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이너스 1배를 추종하는 인버스 ETF의 기간수익률은 정방향 ETF의 기간수익률에 (-1)배 한 값과는 다를 수 있으며, 장기로 보유할수록 이런 차이는 확대될 수 있습니다.
<예시 : 2023/04/07 ~ 04/11 기간 변동 및 수익률 비교 >
* 위 일수익률(예상)은 운용에 대한 비용, 펀드 보수 등을 고려하지 않은 가정수익률입니다.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ETF의 분배재원에 따라 하기 지급기준일에 분배금이 지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ETF 1주가 시장에서 거래될 때 체결된 현재가격. 주당 시장가격은 가장 최근에 체결된 현재가격을 의미할 뿐, 기준가격(NAV) 또는 실시간기준가격(iNAV) 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ETF가 추종하는 지수.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 불리며, ETF가 투자하는 자산 또는 전략의 기준이 됨
CU(Creation Unit)는 ETF를 설정/환매할 때의 최소 단위. 보통 수만 주에서 수십만주가 한단위(CU)로 정해짐.
ETF의 ‘1좌당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란, ETF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운용보수 등 ETF운용 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을 말함. ETF의 기준가격은 일반펀드와 마찬가지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
AP(지정참가회사, Authorized Participants) ETF 설정 또는 환매를 운용사에 청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지정판매회사.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하여 ETF설정 및 환매를 자산운용사에 요청하는 역할을 주로 함.
LP(유동성공급자, Liquidity Provider) 유통시장(거래소시장)에서 ETF의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함. LP는 호가스프레드(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차이)가 일정 수준 내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호가를 제공함.
ETF의 설정/환매 단위인 1CU(Creation Unit)의 구성내역으로 발행시장에서 ETF 설정(환매)을 위해 납입(수취)하는 포트폴리오 내역을 말함. 매일 변경된 내역이 공표되므로 투자자 확인 가능.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가격의 변동에
따라 YTM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데 이를 실시간YTM이라고 함
YTM(Yield To Maturity)이란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통상 만기가 있는 채권은 주식과 달리 만기까지 투자했을 때 획득할 수 있는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예상수익률로 활용.
채권 투자시 투자원금의 평균회수기간을 의미. 년수로 표시되며, 현금흐름(쿠폰)이 발생하는 채권의 경우 채권의 실제 만기보다 듀레이션이 짧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