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ETF 마켓리포트

2023.01.05

[E모저모 Vol.12] 같은 중국, 다른 ETF? 그래서 준비한 KBSTAR 중국 지수형 ETF 선택 가이드



중국은 영토의 크기, 인구수만큼 이나 주가지수 종류도 다양합니다. 저마다 중국을 대표하고 있지만, 그 방식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그저 수익률 좋은 ETF를 뒤늦게 쫓았다가는 본인의 투자 목적과 전혀 다른 상황을 마주하게 될 가능성이 높죠. 한국은 코스피, 코스닥만 알아도, 미국은 S&P500, 나스닥100만 알아도 투자하는데 전혀 문제없었는데너무 많아 오히려 선택이 어려운 중국 대표 지수형 ETF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중국 본토 대형주에 투자하는 KBSTAR 중국본토대형주CSI100

중국 본토를 대표하는 우량주 100종목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기초지수인 CSI100지수는 상해거래소 및 심천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A주 중에 업종 대표성, 시가총액, 유동성, ESG 기준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100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해거래소에는 귀주모태주, 평안보험 등 중국 3차산업을 대표하는 종목들이 주로 상장되어 있고, 심천거래소에는 CATL, BYD 등 신성장 산업을 대표하는 종목들이 상장되어 있죠. CSI100지수는 성격이 상이한 중국 본토 두 거래소 대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치주와 성장주를 모두 아우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CSI100지수에 투자한다면 특정 섹터나 스타일에 치우침 없이 중국 대형주에 전반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코스피200, 미국의 S&P500처럼 말이죠. KBSTAR 중국본토대형주CSI100 ETF는 중국 증시의 높은 변동성을 투자 기회로 활용했던 투자자들에게는 다소 무난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중국 테마형 ETF의 높은 변동성에 지친 투자자 분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KBSTAR CSI100( )


(또 하나의) 중국의 나스닥, KBSTAR 차이나항셍테크

홍콩거래소에 상장된 종목 중 테크 관련 기업(인터넷, 핀테크, 전자성거래, 디지털) 30종목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전기차, 반도체 등 중국의 신성장 산업 관련 종목들이 주로 중국 본토의 심천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면, 인터넷, 모바일 플랫폼을 바탕으로 성장한 중국의 4차 산업 관련 대표 기업들은 대부분 홍콩거래소에 상장 되어 있습니다. 한때 글로벌 주식 시장에서 미국 FAANG의 기세를 위협했던, 중국 BATJ(Baidu, Alibaba, Tencent, JD) 뿐만 아니라 메이투안, 샤오미 등이 홍콩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죠. 항셍테크 지수는 중국의 빅테크 기업들 뿐만 아니라 차세대 BATJ를 꿈꾸는 기업들까지 투자할 수 있는 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항셍테크지수는 ChiNext, Star50 , 중국의 나스닥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지수 내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플랫폼 기업들이 중국 정부의 플랫폼 규제 영향과 성장주 투자 심리 악화로 인해 오랫동안 부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KBTAR 차이나항셍테크 ETF혁신적인 중국 테크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훌륭한 수단입니다. ETF 중 변동성이 가장 크지만, 향후 중국 성장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회복된다면, 큰 폭의 반등을 기대할 수 있는 ETF이기도 합니다.



KBSTAR 차이나항셍테크(자세히 )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중국 대표 기업을 모두 담았다. KBSTAR MSCI China(H)

KBSTAR 중국본토대형주CSI100이 중국본토(상해거래소, 심천거래소) 대표 종목, KBSTAR 차이나항셍테크가 홍콩거래소 상장 중국 대표 종목에 각각 투자하는 ETF라면, KBSTAR 중국 MSCI China(H)는 투자 대상을 특정 거래소에 국한하지 않습니다. 상해거래소 및 심천거래소, 홍콩거래소는 물론 미국에 상장한 중국 기업들까지 MSCI가 정한 기준에 부합한다면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죠. 알리바바(홍콩), 평안보험(상해), CATL(심천), 핀듀오듀오(미국) 각기 다른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4종목이 KBSTAR 중국MSCI China(H)에 모두 편입되어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입니다. 전반적으로 성장주 비중이 높지만 항셍테크지수가 홍콩거래소 상장 기술주로만 상장되어 있는 반면, MSCI China 지수는 중국 신성장 산업 관련 종목들뿐만 아니라, 중국 대표 산업재, 소비재 등에도 투자합니다.



KBSTAR MSCI China(H)(자세히 보기)



KBSTAR 중국대표지수형 ETF, 기초지수 산업별 비중 비교

KBSTAR 중국본토대형주CSI100, KBSTAR 차이나항셍테크, KBSTAR 중국 MSCI China(H) ETF의 특징은 기초지수의 산업별 비중을 비교해 보면 보다 명확히 드러납니다. 항셍테크지수가 성장주 대표 섹터인 경기소비재, 커뮤니케이션서비스, IT 3개 섹터로만 구성되어 있는 반면, MSCI China지수는 경기소비재, 커뮤니케이션서비스 비중이 높긴 하나, 금융 비중이 15% 3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등 항셍테크지수가 투자하지 않은 섹터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반면, CSI100지수는 앞의 두 ETF 대비 특정 섹터에 대한 편중이 심하지 않으며, 중국 본토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산업재, 필수소비재, 비중이 KBSTAR 중국본토대형주CSI100, KBSTAR 차이나항셍테크 보다 높습니다.



KBSTAR 중국 MSCI China(H)는 세 ETF 중 유일하게 환헤지를 실시합니다. KBSTAR 중국본토대형주CSI100, KBSTAR 차이나항셍테크가 환헤지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 위안-, 홍콩달러-원 환율 등락의 영향을 받는 반면, KBSTAR 중국 MSIC China(H)는 환헤지를 실시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중국 대표 지수형 ETF, 최근 반등하고 있지만 여전히 2년래 최저 수준에서 횡보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중국 증시가 점점 잊혀져 가는 모습인데요, 본인의 위험 성향과 투자 목적에 맞는 중국 대표 지수형 ETF를 통해 관심을 조금씩 관심을 가져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상품개요





※ 주요 위험


※ 유의사항


· 상기 투자위험은 투자신탁의 주요 위험을 발췌한 것이며 투자위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반드시 투자설명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투자자는 투자 의사결정을 하시기 전에 반드시 집합투자규약 및 투자설명서를 수령하여 상품의 내용을 충분히 인지한 후 투자 결정 하시기 바라며, 투자 전 판매 회사의 충분한 설명을 청취하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투자상품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세기준 및 과세  방법은 향후 세법 개정 등에 따라 변동 될 수 있습니다.

 

 준법감시인 심사필 : 투자광고 2023_012(다)(2023.01.05~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