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NEWs] KBSTAR KP달러채권액티브
원화채권 대비 높은 수준의 KP물 금리로 투자
KBSTAR KP달러채권액티브 ETF 신규 상장
[ 투자 핵심 포인트 ]
★ 익숙한 채권에 고금리로 투자하는 효과
★ 안정적이면서 꾸준한 성과 추구
2023년 11월 9일 상장
KBSTAR KP달러채권액티브 ETF (종목코드 : 469050)
KP달러채권액티브 ETF 투자포인트(1)
: 왜 지금KP물일까?
KP(Korean Paper)물이란 국내 기관이 역외(해외)시장에서 발행하는 외화표시채권입니다. 국내 정책기관이나 금융기관, 기업들이 외화를 조달하기 위해 달러화나 유로화 등 외화로 채권을 발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23년 11월 현재를 기준으로, 원화채권과 비교하면 외화 채권이 상대적으로 금리수준이 높아 우리에게 익숙한 채권에 고금리로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국내 우량기업 또는 기관이 결국 최근 미국의 고금리 환경과 맞물려서, 동일한 기업의 채권이지만 국내 발행물 대비 더 높은 수준의 금리로 제공이 되는 셈입니다.
실제 이 ETF가 추종하는 KIS KP달러채권 지수의 만기 보유 수익률은 5.52%로, 동일한 종목을 원화채권으로 투자했을 때의 4.43%보다 약 1.1%포인트 가량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KP물은 대체로 USD로 발행됩니다. 달러표시 KP물은 달러-원 환율의 움직임에 성과가 노출되어 있어 달러가 강세로 움직일 경우 환차익까지 향유할 수 있습니다. 투자시점에 따라 금리인상기 채권 가격의 하락하더라도, 이에 대비해 달러화의 상승한다면 일정부분 헷지 포지션을 취할 수도 있는 셈입니다. 물론 이와 반대로 달러가 약세로 움직일 경우 환에 의한 손실이 있을 수 있는 점 또한 유의해야할 부분입니다.
KP달러채권액티브 ETF 투자포인트(2)
: 안정적이면서 꾸준한 성과 추구
KBSTAR KP달러채권액티브 ETF는 KIS KP달러채권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KIS KP달러채권 지수는 유사시 정부 지원이 예상되는 특수은행채 및 공사채 등이 약 60%를, 나머지 40%도 AA-등급 이상의 회사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실제 코로나와 같은 위기 국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보여왔습니다.
KTB지수(Korea Treasury Bond Index, 국고채 BM)의 과거 성과와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또한 듀레이션이 평균 3년 내외로 짧아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의 채권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개인 채권 투자시 어려울 수 있는 듀레이션 관리를 KBSTAR KP달러채권액티브 ETF를 통해 시장 평균 수준으로 손쉽게 컨트롤하여 투자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KBSTAR ETF의 채권 라인업
KBSTAR ETF는 채권ETF명가로서의 입지를 다지고자 투자자 니즈에 맞춰 라인업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KBSTAR 머니마켓액티브ETF로 대표되는 초단기 상품부터 / 국내 채권지수 추종 상품 12종 / 만기매칭형ETF 2종과 / 해외채권 4종 / 레버리지·인버스 7종 등 이번에 상장한 KBSTAR KP단기채권액티브ETF를 포함해 총 26종의 상품군으로 투자자분들의 채권 투자를 함께 하고 있습니다.
KBSTAR 채권ETF 시리즈로 맞춤형 투자하세요!
▶ KBSTAR KP달러채권액티브 ETF (상품 자세히 보기)
* 위 내용은 작성 시점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감안하여 파악된 이 투자신탁의 주요 투자위험을 명시한 것으로 이 투자신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을 포함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타 다른 투자위험에 관한 사항은 정식 투자설명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유의사항
- 상기 투자위험은 투자신탁의 주요 위험을 발췌한 것이며 투자위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반드시 투자설명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자산가격변동, 환율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투자상품<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세기준 및 과세 방법은 향후 세법개정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